제60회 베를린국제영화제 최우수유럽영화상과 2011독일비평가 협회상 7개 부문 수상, 저먼필름 어워즈 2개 부문 수상, 2010 트라이베카 영화제 여우주연상. 세계 영화제에서 무려 35개 부문 수상으로 작품성을 인정받은 그녀가 떠날 때는 모슬렘 여성에 가해지는 명예 살인을 소재로 삼았다. 명예 살인은 아랍권 또는 이슬람권 뉴스를 접할 때 심심치 않게 들린다...
열반송, 그리고 법어[글마루=김명화 기자] 성철스님은 숨을 거두기 직전 열반송을 남겼다. 하지만 열반송과 1987년 초파일에 설파한 법어는 많은 이들의 논란의 대상이 됐다. 열반송은 서두에서 제시했으므로 초파일 법어를 아래에 소개한다. 이 내용은 1987년 4월 23일 조선일보와 경향일보에 실려 언론에 화제가 됐다. 왜 성철스님은 중생들에게 이러한 법어를 ...
깨달음을 향한 구도의 길 [글마루=김명화 기자] 깨달음을 얻기 위한 정진에 혼신의 힘을 기울여라고 큰스님은 항상 말씀하셨지요. 이어 원택스님은 성철 스님의 주요 사상인 돈오돈수(頓悟頓修)에 관해 설명했다. 돈오는 단박에 깨닫는다는 말이고 돈수는 단박에 닦는다는 뜻. 즉, 깨달음을 얻기 위한 수행은 곧바로 깨우쳐야 제대로 된 깨달음에 다다를 수 있다는 의미다...
깨달음을 향한 구도의 여정 [글마루=김명화 기자] 우리 시대 큰 어른 성철스님. 치열하다 못해 혹독한 참선 수행으로 참다운 구도자의 모범을 보여주셨던 큰스님은 1993년 11월, 중생들 곁을 떠나 열반에 들었다. 20년간 성철스님을 시봉(侍奉, 부모나 스승을 받들어 모심)했던 원택스님에게 큰스님의 참선과 법어, 그리고 삶의 이야기를 들어본다. 나의 스승, ...
▲ 임형진 교수(사진제공: 본인) 동학, 남북화해의 단초 [글마루=김명화 기자] 현재 한민족학회와 동학학회 연구이사며 고려대학교 정치학과 겸임교수인 임형진 교수를 만나 동학에 관한 이야기를 들어봤다. 임 교수는 동학을 다양한 각도에서 심도 있게 연구한 학자로 잘 알려져 있다. -동학의 평등주의 사상은 근대적 의미의 민권 사상으로 해석할 수 있다고 들었습니다...
수운 최제우 선생은 동학의 창도자다. 동학은 한국 민족 종교의 시발점이며 동학농민혁명의 근본 사상이라는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수운 선생이 동학을 통해 이루고자 했던 이상사회는 현실에서 실현되는 새 세상이었다. 그의 표현대로 말하자면, 다시 개벽을 통해 인간평등을 이루어 낡은 선천세상을 무너뜨리고 새로운 후천세상으로 회복하기를 꿈꿨던 것이다. 1894년...
―가톨릭 교리와 불교 교리는 어떤 점에서 다르다고 생각하십니까? 불교의 역사는 2500년이고 그리스도교의 역사는 약 2천 년입니다. 너무 방대해서 쉽게 말씀드리기 어려워요. 예전에는 무식의 용기에서 나오는 이야기들을 많이 했어요. 하지만 어느 정도 알기 시작하니 쉽게 말할 수가 없습니다. 엄밀하게 말하자면 불교 안에서 이것을, 그리스도교에서 저것을 끄집어내...
불교와 열애 중인 캐나다 출신 신부 베르나르 스네칼[글마루=김명화 기자] 부처님을 만나신 예수 그리스도님. 제목부터 예사롭지 않은 이 책의 저자는 베르나르 스네칼 신부다. 한국에서는 그를 서명원 신부라고 부른다. 서 신부는 현재 서강대 종교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23년 동안 불교의 진리를 탐구한 신실한 불자이기도 하다. 불교를 올바르게 이해하기 위해서 ...
가로세로 퀴즈 가로세로 낱말 퀴즈<45>, <44> 답 및 당첨자 발표
칼럼 폐로 앞둔 노후원전, 연장 가동 문제 없나
칼럼 드디어 벗는 마스크, 아직 끝은 아니다
사설 국민연금 개혁안 제시하라
천지시론 지금은 형이상학(形而上學)적 차원의 시대… 이현령비현령(耳懸鈴鼻懸鈴)은 이제 그만
천지시론 ‘천지분간’… 무지와 오해가 아닌 이해가 절실한 때
천지시론 정통(正統)과 이단(異端)… 심은 대로 거둔단 말이 옳도다
천지시론 애독자의 사랑 실은 천지일보… ‘정의’와 ‘지도’의 기능 다 하는 해
사설 이재명 대표의 대장동 의혹사건 소환조사… 검찰은 신속하게 결론 내야
사설 국정원 대공수사권 폐지, 재검토해야 한다
사설 나경원 불출마 선언, 여당 전화위복의 기회로 삼아야 한다
칼럼 영화 ‘정이’ 메마른 한국형 SF 장르에 희망 심었다
칼럼 새해의 소망
[우리식물 우리음식] 시름을 잊게 해준다는 망우초의 뽀득하고 달큰한 맛, ‘원추리나물’
[32차 평화순방] HWPL, 올해 첫 평화순방지 필리핀… 민다나오 평화정착 재확인
[건설맥짚기⑧] ‘집값 상승 주범’ 지목된 재건축… 관점따라 찬반논쟁 ‘첨예’